미국의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연방 규제 확립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디지털 달러 시대의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2025년 8월 기준 블록체인 데이터 기업 아르테미스(Artemis)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결제 규모는 월 102억 달러로, 2월의 60억 달러보다 70% 늘었고 작년 같은 달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이 추세가 이어질 경우 연간 거래액은 1,22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급등의 배경에는 7월 18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지니어스법(GENIUS Act)’이 있다. 해당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가 국채 등 고유동성 자산으로 토큰을 1:1 비율로 보유하도록 의무화한 최초의 연방 규제 체계다。
아르테미스의 데이터 과학자 앤드루 밴 에이컨은 “스테이블코인 공급 추세가 지니어스법 통과 이후 뚜렷한 전환점을 맞았다”고 말했다。
기업 간 결제가 개인 간 송금 추월
기업 간(B2B) 스테이블코인 결제 규모는 월 64억 달러로 전체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며 2월 대비 113% 증가했다。이는 처음으로 개인 간(P2P) 거래 규모 16억 달러를 넘어선 수치다.
기업들은 은행 송금의 지연 문제를 피하기 위해 스테이블코인을 적극 도입하고 있으며, 건당 평균 결제액은 약 25만 달러에 달한다. 에이컨은 “은행 간 복잡한 절차로 인한 지연에 기업들이 지쳐 있다”고 지적했다。
전통 금융권도 스테이블코인 네트워크로 이동
이 성장세는 전통 금융기관의 참여를 이끌었다. 은행 연합이 소유한 송금 네트워크 젤(Zelle)은 금요일, 스테이블코인을 국경 간 결제에 통합하기로 발표하며 연 1조 달러 규모의 국내 결제망을 해외 시장으로 확장할 계획을 밝혔다。
운영사 얼리 워닝 서비스(Early Warning Services)의 CEO 캐머런 파울러는 “소비자 수요, 은행 역량, 글로벌 기회가 교차하는 지점에 투자하고 있다”고 말했다。
젤은 JP모건 체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 웰스파고 등 주요 은행이 공동 소유하고 있으며, 2,500개 금융기관을 통해 7,840만 명의 활성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한편 스테이블코인 전체 시장 규모는 10월 기준 시가총액 3,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지니어스법으로 규제가 명확해지면서 은행과 비은행 발행자 모두가 연방 혹은 주 면허 하에 발행이 가능해졌으며, 모든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등 유동성이 높은 자산으로 1:1 비율로 보증받도록 의무화됐다。


![[LIVE🔴] 백종원의 미식 방랑기!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 스트리밍 [LIVE🔴] 백종원의 미식 방랑기!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 스트리밍](https://i.ibb.co/54BtfmL/maxresdefault.jpg)
![[LIVE] 언제 어디서나! KBS 뉴스 24 [LIVE] 언제 어디서나! KBS 뉴스 24](https://i3.ytimg.com/vi/CydYlHYfdl8/maxresdefault.jpg)
![[LIVE]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LIVE]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https://skoreanews.com/wp-content/uploads/2024/02/maxresdefault.jpg)
![[LIVE]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LIVE]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https://i3.ytimg.com/vi/FJfwehhzIhw/maxresdefault.jpg)
![[생방송] 24시간 현장을 전합니다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생방송] 24시간 현장을 전합니다 / 연합뉴스TV (YonhapnewsTV)](https://i3.ytimg.com/vi/6QZ_qc75ihU/maxresdefault.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