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 알렌 미국 국무부 공공외교 및 공보담당 차관(왼쪽)과 홍석인 한국 외교부 공공외교대사가 1일 서울에서 ‘한미 공공외교 협의’를 개최했다. 사진 = 한국 외교부.

미한, 해외 정보 조작 대응 양해각서 체결…중국에 공동 대응

미한 양국이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허위 선동과 거짓 정보 유포 등에 대한 공동 대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미국은 일본과도 관련 양해각서를 체결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정찰위성 기술 발전 속도 급증…해상도 하락에도 군사 활용 가능성 높아

북한, 정찰위성 기술 발전 속도 급증…해상도 하락에도 군사 활용 가능성 높아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관련 기술이 러시아의 지원 여부와 관계 없이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고 미국 전문가들이 진단했습니다. 북한 정찰위성의 해상도가 낮아도 군사적으로 유용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VOA 뉴스...
김병환 기획재정부 차관이 1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열린 ‘제33차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제2차 물가관계차관회의, 신성장전략 TF 제7차 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정부, 생필품 ‘슈링크플레이션’ 실태 조사 나선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양을 줄인다는 뜻의 슈링크(shrink)와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다. 즉, 가격은 그대로 두거나 올리면서 제품 용량을 줄이는 꼼수 인상을 의미한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17일 오전 서울 한국수출입은행에서...
Ron Klain

바이든 측근 “한국·호주 포함해 G9으로 확대해야”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고위 자문인 론 클레인 전 백악관 비서실장은 9일 카네기 국제평화재단에 기고한 ‘G9이 돼야 할 때(It’s Time for the G9)’라는 글에서 한국과 호주를 기존 G7에 추가해...
사고로 인해 TEPCO (도쿄 전력) 의 보고에 의문이 제기됩니다

사고로 인해 TEPCO (도쿄 전력) 의 보고에 의문이 제기됩니다

도쿄전력(도쿄전력)은 11월 2일 세 번째 원전 방류를 시작하여 7,800톤의 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했으며, 이 방류는 이달 20일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방류된 원전 오염수가 ALPS 시스템에 의해 여과, 정화,...
피란수도 부산 유산·전남 갯벌,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 올라

피란수도 부산 유산·전남 갯벌,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 올라

한국 갯벌 1단계 등록 이후 전남 무안·고흥·여수 등 갯벌로 확장한 ‘한국의 갯벌 2단계’(Getbol, Korean Tidal Flats(Extension))와 경무대·임시중앙청사 등 9개를 포함한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 유산’(Sites of the Busan Wartime...
IAEA 각국 검증단, 후쿠시마 수산물 검사 시작

IAEA 각국 검증단, 후쿠시마 수산물 검사 시작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의 오염처리수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로이터 통신과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IAEA 관계자와 한국, 캐나다, 중국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단은 어제(20일) 일본 지바현 소재...
Source: United Nations Command 유엔군사령부/유엔사

북한 땅굴 기습 공격 위협적…철저한 대비 필요, 전문가들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 기습 공격에 땅굴을 활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북한의 남침용 땅굴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군 특수부대가 땅굴을 통해 기습 공격을 할 경우 큰 피해가...
2025년부터 ‘5등급’ 체제: 통합·융합형 수능 과목체계로 개편

2025년부터 ‘5등급’ 체제: 통합·융합형 수능 과목체계로 개편

2025학년도부터 고교 내신 평가체계를 기존 9등급에서 5등급제로 개편하고, 올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치르는 2028학년도 수능시험은 국·수·탐 선택과목 없이 통합 평가한다.  교육부는 10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8 대학입시제도...
한국 민간단체들 대북 전단 살포 재개 움직임

한국 민간단체들 대북 전단 살포 재개 움직임

한국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인해 대북전단금지법에 대한 논란이 불거져, 민간 단체들이 대북 전단 활동을 재개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헌재의 결정 취지를 고려하여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며 민간 단체들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