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초의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1호기가 47년 만에 해체 절차에 들어갑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6월 26일 전체회의에서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 1호기의 해체계획서를 최종 승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1978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고리 1호기는 2017년 영구정지된 지 8년 만에 본격적인 해체 작업에 돌입하게 됐습니다.
해체 절차와 일정
해체 작업은 총 1조713억원이 투입되며, 약 12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해체는 오염이 적은 설비부터 시작해 방사선 준위가 높은 구역까지 순차적으로 이뤄집니다. 2031년에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를 외부로 반출하고, 이후 방사성 계통 해체를 거쳐 2037년까지 부지 복원까지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해체 과정에서 약 17만 톤의 방사성 폐기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중 대부분은 낮은 준위로 자체 처분이 가능합니다. 중저준위 폐기물은 해체지원시설에서 제염·절단 후 경주 방폐장 등으로 이송됩니다. 사용후핵연료는 별도의 건식저장시설이 완공된 후 반출될 예정입니다.
원안위는 해체 전 과정에서 방사선 안전관리와 환경보호,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최우선 원칙으로 삼겠다고 밝혔습니다. 해체 작업 중 방사선 피폭량은 법적 기준 이내로 관리되며,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작업 현황, 방사선 수치, 안전사고 여부 등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할 방침입니다.
고리 1호기 해체는 단순한 노후 설비 철거를 넘어 국내 원전 해체 기술 내재화, 전문 인력 양성, 산업 생태계 조성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국제적으로도 상업용 원전 해체 경험이 있는 국가는 미국뿐이며, 이번 해체는 한국이 500조 원 규모로 예상되는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전망입니다.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고리 1호기 해체는 국민과 지역사회의 신뢰를 바탕으로 투명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IAEA Imagebank, CC BY-SA 2.0, via Wikimedia Commons